ISO 26262 자동차 소프트웨어 안전에 관한 포괄적 분석

Jun 23, 2025

-

63 mins read

ISO 26262 자동차 소프트웨어 안전에 관한 포괄적 분석

Share

유미 도

유미 도

한국 시장의 IT 분야에 대한 콘텐츠 제작자인 유미를 만납시다 그분은 정보기술 분야에 깊게 관심을 갖고 특히 신규 기술 분야에서 한국과 베트남 협력관계 및 IT 솔루션에 대한 정보를 독자들에게 신속하게 전할 수 있습니다. 유익한 IT 지식으로 독자와 함께 친한 친구가 되고 재미있는 기술여정 완전히 즐길 수 있음을 믿습니다. TrangTH@ltsgroup.tech 이메일로 연락하세요.

background

뉴스 레터

뉴스레터를 구독하려면 아래에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세요

기타 성공한 사례연구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포괄적인 분석 (2025년 업데이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포괄적인 분석 (2025년 업데이트)

Jul 14, 2025

-

43 mins read

소프트웨어는 지금 자동차 산업을 근본부터 재편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전기차, 공유 모빌리티로 대표되는 ACES 네 가지 트렌드는 모두 최첨단 소프트웨어 기술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 소프트웨어는 자동차 산업 전체 가치사슬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은 단순한 기능 추가를 넘어 차량이 어떻게 작동하고 상호작용하며 진화하는지에 대한 본질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분석부터 시스템 설계, 구현, 철저한 테스트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은 고도의 기술력은 물론 차량 기계 및 전자 시스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요구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LTS Group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핵심 단계부터, 실제 프로젝트 사례, 시장 통계, 미래 산업 방향성에 이르기까지 인사이트를 깊이 있게 전해드립니다. OEM, 1차 협력사, 혹은 모빌리티 기술에 도전하는 스타트업 모두에게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참고할 만한 내용입니다. Table of Contents Toggle 자동차 소프트웨어란 무엇입니까?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도구 및 프로그래밍 언어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V-모델)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분석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소프트웨어 상세 설계 및 단위 구현 단계 업무 분석소프트웨어 단위 테스트 소프트웨어 통합 테스트소프트웨어 적합성 테스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LTS Group 사례 연구앰비언트 라이트 개발 (Ambient Light Development)보안 부트로더 개발 (Secure Boot Loader Development)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시장 규모 및 미래 전망자주 묻는 질문 자동차 소프트웨어란 무엇입니까?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안전성은 어떻게 보장합니까?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이 차량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마무리  자동차 소프트웨어란 무엇입니까? 자동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자동차 소프트웨어는 엔진 제어와 같은 기본 기능부터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차량 내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현대 자동차의 지능화, 안전성, 성능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동력으로 엔진 관리에서 내비게이션, 엔터테인먼트에 이르기까지 차량의 모든 전자적 기능을 포괄합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는 차량의 설계, 제조, 운행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포괄합니다. 이러한 솔루션은 자동차에 특화되어 설계된 것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차량 관리 시스템, 인포테인먼트, 안전 및 보안 시스템, 텔레매틱스, 자율주행 등 여러 분야를 포함합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은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재편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주행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율주행과 차량 간 연결성과 같은 첨단 기능을 통합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현대 차량에서 소프트웨어는 차량의 핵심 역량을 구성하는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도구 및 프로그래밍 언어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적용 분야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 도구가 활용됩니다. 특히 차량 내 시스템은 고도의 정밀성과 안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각 단계에서 최적의 언어와 툴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요 언어와 도구들 및 그 역할에 대한 소개입니다. C/C++: 하드웨어에 대한 저수준 제어와 높은 실행 효율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제어 계통 및 실시간 시스템 개발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Java: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텔레매틱스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합한 언어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네트워크 통신 기능 구현에 주로 활용됩니다. Python: 데이터 분석, 테스트 자동화, 그리고 머신러닝 기반의 기능 개발에 널리 사용되며 자율주행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MATLAB/Simulink: 자동차 시스템의 모델링, 시뮬레이션 및 제어 알고리즘의 검증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AUTOSAR (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자동차 전자제어장치(ECU) 간의 표준화된 아키텍처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여 모듈화 및 재사용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VectorCAST: 소프트웨어 단위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를 위한 자동화된 테스트 도구로 품질 검증과 신뢰성 확보에 효과적입니다. Eclipse: 오픈소스 통합 개발 환경(IDE)으로 다양한 플러그인과 언어 지원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설계와 구현 단계에서 활용됩니다. Git: 소스 코드 버전 관리 및 협업을 위한 필수 도구로 분산형 저장소를 통해 개발자 간의 효율적인 공동 작업을 지원합니다. QNX: 실시간 운영체제로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Linux: 유연성과 오픈소스 생태계의 장점 덕분에 다양한 차량용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는 운영체제입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V-모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V-모델은 고신뢰성과 안전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한 대표적인 개발 프로세스 모델이라고 합니다. 이 모델은 개발 단계와 검증 단계를 좌우 대칭의 형태로 구성하여 각 설계 단계마다 명확한 테스트 절차를 대응시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요구사항 분석부터 시작하여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상세 설계 및 구현에 이르는 일련의 흐름이 왼쪽 축을 구성하고 오른쪽 축에서는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적합성 테스트 등 단계별 검증 절차가 대응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개발 초기부터 테스트 가능성을 고려하게 하여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전체 개발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ISO 26262와 같은 자동차 안전 표준을 충족하기 위해 V-모델은 매우 효과적인 접근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 LTS Group은 실제 고객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있는 이 V-모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수행 절차를 상세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분석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요구 사항 분석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분석(Software Requirement Analysis) 단계에는 시스템 요구사항과 OEM으로부터 제공된 소프트웨어 명세를 면밀히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요구사항을 추상화하여 체계적인 SW 요구사항 문서를 도출합니다. 이 과정은 이후 개발 단계에서 오류 없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반이 됩니다. 다음은 요구사항의 수준(Level), 기능(Function), 정보(Information)를 식별하고 불명확하거나 애매한 정의를 제거하기 위한 언어적 정제 작업이 수행됩니다. 이러한 작업은 여러 개발 주체 간의 오해를 방지하고 요구사항 해석의 일관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LTS Group은 OEM 및 공급업체와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요구사항의 범위, 정의, 제약 조건을 명확히 합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인식 차이를 줄이고 프로젝트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협의 과정입니다. 이와 함께 ASPICE 표준을 기반으로 한 양방향 추적성(Bi-Directional Traceability)을 확보하고 요구사항과 구현 간의 연계성을 투명하게 관리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LTS Group은 업계 표준 도구인 IBM DOORS를 활용하여 실행하며 요구사항 도구의 유지 및 기준선(Baseline) 관리를 통해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통제합니다. 해당 역량은 실제 프로젝트 사례인 ESP/ESC/IBS 및 BMW BMS 등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으며 LTS Group은  복잡하고 고안전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입증합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아키텍처 설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Software Architecture Design) 단계에서 LTS Group은 IBM Rhapsody와 Vector DaVinci와 같은 전문 도구를 활용하고 자동차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체계적으로 설계합니다. 이 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도출된 요구 사항을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한 구조로 전환하는 핵심 과정으로 후속 개발 및 테스트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기반이 됩니다. 구체적으로 LTS Group은 시스템을 다양한 기능 모듈로 세분화하고 각 모듈 간의 데이터 흐름과 신호 흐름을 정의하며 인터페이스를 명확하게 설정합니다. 특히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에서는 도메인 컨트롤러, 77GHz 레이더, 카메라, 라이다 센서 등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통합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 성능을 고려한 안정적인 아키텍처를 구축합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서비스 계층, 통신 계층 등으로 계층화되어 구성되며, 이는 확장성, 재사용성, 유지보수 용이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당 역량은 다양한 프로젝트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Daimler 루프 컨트롤러 ADAS용 도메인 컨트롤러, 77GHz 레이더, 카메라, 라이다 ESP/ESC/IBS 스마트 섀시 컨트롤러 에어백 컨트롤러 BMS 배터리 관리 시스템 PEPS (Passive Entry Passive Start) 시스템 소프트웨어 상세 설계 및 단위 구현 단계 업무 분석 소프트웨어 상세 설계 단계에서 기존에 정의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각 모듈의 세부 설계 및 단위 구현을 수행합니다. 이 과정은 IBM Rhapsody, Vector DaVinci Configurator Pro, EB Tresos와 같은 업계 표준 도구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진행됩니다. DaVinci Developer 및 Configurator를 사용하여 BSW(Basic Software) 구성요소를 개발하며 AUTOSAR 환경에서의 정밀한 설정과 통합을 보장합니다. 또한 EB Tresos를 통해 MCAL을 구성하며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의 안정적인 작동을 확보합니다. 개발 범위에는 OS, UDS, UDSonCAN, NVM, E2E, NM, XCP, CDD, RTE, DEM 등 자동차 소프트웨어에서 표준적으로 요구되는 서비스 및 프로토콜이 포함되며 각 요소는 시스템 요구에 따라 정밀하게 설계되고 통신 흐름이 엄격히 관리됩니다. LTS Group은 OEM별 사이버 보안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맞춤형 부트로더를 설계 및 구현하며, 시스템 업데이트와 시큐어 부팅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더불어 소프트웨어 단위 수준에서부터 기능 안전 요소를 통합함으로써 ISO 26262 등의 안전 표준에 부합하는 개발을 실현합니다. 사용 도구 IBM Rhapsody Vector DaVinci Developer 및 Configurator EB Tresos GENy (클래식 AUTOSAR 모듈 설정용) 소프트웨어 단위 테스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단위 테스트 소프트웨어 단위 테스트 단계는 각 소프트웨어 모듈을 독립적으로 검증하여 기능의 정확성과 논리적 일관성, 그리고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이 단계는 시스템 통합 이전에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함으로써 전체 개발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TS Group은 SIL(Software-in-the-Loop), MIL(Model-in-the-Loop) 기반의 동적 테스트를 수행하며 TPT, Tessy, VectorCAST와 같은 전문 도구를 활용하여 테스트 케이스 생성, 자동 실행, 결과 분석, 그리고 커버리지 측정(MCDC, Branch, Decision 등)을 정밀하게 수행합니다. 특히 MCDC(Modified Condition/Decision Coverage)는 기능 안전이 요구되는 자동차 소프트웨어에서 핵심적인 평가 기준입니다. 정적 테스트도 병행하여 실행되며 이를 위해 Polyspace와 QAC 등의 분석 도구를 사용합니다. 정적 분석은 소스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분석함으로써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 잘못된 포인터 접근, MISRA C 규칙 위반, 논리 오류 등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위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ECU, 도메인 컨트롤러, 에어백 컨트롤러, 그리고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과  같은 고안전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용되며 각 요소에 대해 높은 신뢰성과 검증된 품질을 보장합니다. 사용 도구 동적 테스트: SIL, MIL, TPT, Tessy, VectorCAST 정적 테스트: Polyspace, QAC 소프트웨어 통합 테스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통합 테스트 소프트웨어 통합 테스트 단계에서 단위 테스트를 마친 개별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통합된 상태에서 올바르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검증합니다. 이 단계의 목적은 각각의 모듈이 설계된 대로 통합 환경에서 정확히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LTS Group은 이 단계에서 크게 두 가지 유형의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첫째, 인터페이스 테스트는 Lauterbach, Tessy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각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정의가 올바르게 구현되고 작동하는지를 검증합니다. ECU,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에어백 컨트롤러와 같은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한 과정입니다. 둘째, Back-to-Back 테스트는 Tessy, TPT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두 시스템의 출력값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구현상의 논리적 차이 혹은 오작동을 탐지합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환경과 실제 하드웨어 간 결과를 비교하여 일관성을 확보합니다. 소프트웨어 적합성 테스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적합성 테스트 소프트웨어 적합성 테스트 단계에서 LTS Group은 전체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기능적,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는지를 최종적으로 검증합니다. 이 단계는 시스템 수준에서 수행되는 정량적이고 표준화된 테스트로, 고객 인도 전 또는 OEM의 최종 승인 이전에 이루어지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저희는 Vector사의 vTESTstudio 도구를 기반으로 한 자동화 소프트웨어 적합성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테스트 시나리오는 Python 및 CAPL 언어를 활용하여 작성되며 다양한 입력 조건과 반복적인 테스트를 자동화함으로써 효율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테스트 스크립트는 CANoe 프로젝트와 연동되어 대상 시스템에 대한 입력을 생성하고, 출력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합니다. 시스템의 동작 상태는 XCP 인터페이스를 통해 온라인 모니터링 되며, 모든 테스트 결과는 표준 형식의 리포트로 생성되어 요구사항 충족 여부 및 오류 발생 여부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에 관한 LTS Group 사례 연구 앰비언트 라이트 개발 (Ambient Light Development) 고객사의 과제  초기에는 몇 가지 과제가 있었으며 고객의 기준에 따라 3개월 이내에 모듈을 개발해야 했습니다. 고객사는 비용 절감을 위해 메모리 용량이 작고, 속도가 느리며 GPIO 수가 적은 약한 ECU로 교체합니다. ECU가 주변 온도의 영향을 받아 원하는 색상 표현이 어려웠으며 챔버 및 보정을 통한 테스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고객사는 개발 프로세스에 ASPICE Level 2 적용을 요구합니다. LTS Group 솔루션 파생값(미분)을 활용하여 보정 단계에서 측정된 결과를 기반으로 온도 공식을 계산합니다. EEPROM과 FLASH 간의 메모리 공유를 통해 메모리 최적화 수행합니다. 업무 범위 모듈에 대한 설계, 개발, 단위 테스트 / 통합 테스트 / 품질 검증 테스트 수행: Adc Dio Port Pwm Lin – LIN protocol​ -Diagnostic on LIN​ -LIN assign NAD, assign Frame, LIN auto Address 보안 부트로더 개발 (Secure Boot Loader Development) 고객사 과제 고객사는  짧은 시간 내에 보안 부트로더 기능의 구현을 요청하였으며 ECU가 HSM(Hardware Security Module)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을 수작업으로 직접 구현해야 했습니다. 동시에 하드웨어는 해외에 세팅되어 있어 테스트 환경이 매우 제한적이었습니다. 고객은 또한 2개의 툴 개발을 요청했습니다: HASH 및 서명을 생성하는 툴 ECU에 소프트웨어를 플래싱하는 툴 모두 2개월 이내에 완료해야 하는 조건이었습니다. LTS Group의 솔루션  팀은 보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완벽히 숙지하였고, 소프트웨어 플래싱 툴도 병행하여 개발한 뒤 제품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업무 범위  다음 모듈에 대한 개발 및 단위 테스트 / 품질 검증 테스트 수행했습니다. 보안 부트 (Secure Boot) 보안 다운로드 / OTA 또는 UDS를 통한 보안 프로그래밍 보안 통신 (Secure Communication) 암호화 알고리즘 (Cryptographic Algorithms) 관련 구성 요소 Secure Boot Secure Download Secure Communication XCP Lock/Unlock RSA2048 알고리즘 ECC 알고리즘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시장 규모 및 미래 전망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시장 규모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자동차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288억 5,080만 달러로 추산되며 2030년까지 650억 2,97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14.9%로 예측됩니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고객 편의성과 기능 향상을 위해 차량 내에 자동차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통합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율주행차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 전체를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연결하고 이를 통해 차량 운행과 균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소프트웨어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자동차 소프트웨어 산업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사용 증가 역시 예측 기간 동안 자동차 소프트웨어 산업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5G 기술의 도입 또한 중요한 발전 요소 중 하나로 고속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수요 증가는 최종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작용하며 시장에 막대한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현대 차량은 점점 더 4G/5G 및 Wi-Fi와 같은 연결 기능을 탑재하여 실시간 데이터 교환, 인포테인먼트, 원격 진단, OTA(Over-the-Air) 업데이트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연결된 차량 기술은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을 지원하여 교통 안전, 내비게이션, 자율주행을 강화하고 고급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및 반자율주행 차량의 개발과 배포는 센서 융합, 경로 계획, 객체 감지 등 복잡한 기능 수행을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내에서 인공지능(AI), 머신러닝(ML), 컴퓨터 비전 기술의 발전을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예측 기간 동안 가장 빠른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지역에서의 급속한 기술 발전은 자동차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 증가를 견인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술 혁신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 역시 자동차 소프트웨어 솔루션 수요를 더욱 촉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지역의 크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인구는 자동차 제조업체들에게 막대한 고객 기반을 제공하며 향후 자동차 소프트웨어 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McKinsey에 따르면 자동차 OEM은 자신들의 자원, 역량, 산업 내 입지를 기반으로 전략적 관점을 개발하고 정교화해야 합니다. 차량 1대당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OEM은 다른 OEM과의 협력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창출하고 소프트웨어의 플랫폼 간 재사용성 확보, E/E 아키텍처의 단순화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OEM은 적합한 인재 채용과 육성, 미들웨어, 운영체제,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HAL), 클라우드 컴퓨팅 등 전체 기술 스택에 대한 역량 구축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직 내 사일로를 허물고 크로스펑셔널(Cross-functional)한 개발 조직을 구성함으로써 효율성과 시장 출시 속도(Time-to-market)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1차 협력사(Tier-1 공급업체)는 OEM의 새로운 역량 확보와 소싱 전략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사의 소프트웨어 및 E/E 전략을 재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OEM의 사고 파트너(Thought Partner)로 포지셔닝 함으로써 미래 E/E 아키텍처를 공동으로 정의하고 요구사항을 함께 설계하는 협력 구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자동차 소프트웨어란 무엇입니까?  자동차 소프트웨어는 오늘날 차량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입니다. 자동차, 트럭 및 기타 모터 차량의 기능성, 안전성,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안전성은 어떻게 보장합니까? 저희는 자동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워크플로우에 V-모델을 적용하여 단위 검증부터 통합 테스트 및 품질 테스트까지 철저한 검증 절차를 수행합니다. 이 구조화된 접근 방식은 초기 단계에서의 테스트 계획 수립을 강조하며 ASPICE 표준에 부합하여 소프트웨어의 전 생애주기 동안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출시 이후에도 소프트웨어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제공합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이 차량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자동차 소프트웨어는 엔진 성능 최적화, 연료 효율 향상, 배출가스 제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나 동적 서스펜션 시스템과 같은 첨단 기능을 가능하게 하여 운전 경험과 차량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킵니다.  마무리  자동차 산업이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빠르게 진화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체계적인 이해와 실행 능력은 이제 기술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경쟁력이 되었습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의 주요 단계와 최신 시장 동향, 실제 사례를 통해 소프트웨어 중심 산업 구조 전환의 본질을 조명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LTS Group은 많은 자동차 산업의 여러 한국 기업과 협업하며  베트남 현지에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한 글로벌 개발 센터(GDC)를 구축하고 전문성과 실전 경험을 겸비한 우수 인재를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개발 및 QA 팀을 유연하게 제공합니다. 특히 LTS Group의 엔지니어들은 한국 고객사의 개발 문화와 업무 방식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이 가능한 역량을 갖추고 있어 한국 내 개발팀과의 원활한 통합 및 운영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또한, 자동차 산업에 특화된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임베디드 시스템, 인포테인먼트, HMI, ADAS, 클라우드 기반 통신 시스템 등 다양한 도메인에 대한 실무 이해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LTS Group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귀사의 기술 역량 강화, 인재 확보, 비용 최적화, 품질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소프트웨어가 주도하는 새로운 모빌리티 시대 LTS Group와 함께 준비해 보십시오!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LTS Group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 솔루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LTS Group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 솔루션

Jul 4, 2025

-

48 mins read

완전한 자율주행 시대를 실현하기 위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술이 바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ADAS입니다. AI와 센서 기술, V2X(Vehicle-to-Everything) 커넥티비티의 비약적인 발전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기술의 진화를 견인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완전 자율주행차로의 전환과 더불어 스마트하고 안전한 도로 환경이 더욱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LTS Group이 바라보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기술적 인사이트와 함께, V 모델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트 솔루션, 그리고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실질적인 접근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Table of Contents Toggle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개요발전 역사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적용 분야시장 규모 및 미래 트렌드LTS Group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트 솔루션 (V 모델 준수)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분석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소프트웨어 상세 설계 및 단위 구현 단계 업무 분석소프트웨어 단위 테스트 소프트웨어 통합 테스트 소프트웨어 적합성 테스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트 사례 연구중국 고객을 위한 주행 안전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 개발LTS Group의 자동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선택 이유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개발 및 품질 관리 체계자동차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8년 이상의 실무 경험250개 이상의 성공적인 프로젝트 및 15,000 Man-month 이상의 누적 수행 실적빠른 의사결정과 민첩한 대응이 가능한 유연한 조직 구조자주 묻는 질문 자동차 ADAS란 무엇입니까?  자동차 부문에 베트남에서  IT 외주 프로젝트를 진행 가능합니까?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영역에서 베트남 인재 품질은 좋습니까? 마무리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개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은 차량 기반의 지능형 안전 시스템으로 정의되며 사고 회피, 사고 심각도 완화, 사고 이후 대응 등 도로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ADAS는 차량 내 통합 시스템이거나 인프라와 연계된 형태로 작동하며 이러한 사고의 여러 단계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특징을 지닙니다.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차량이 주행 중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도화된 센서 기술 및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으로 구성됩니다. 대표적인 센서로는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LiDAR) 등이 있으며 이들은 보행자, 도로 표지, 인접 차량 등의 다양한 객체를 탐지하며 식별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스템은 운전자에게 전방 충돌 경고를 제공하거나 차선 이탈 방지, 자동 주차 보조와 같은 다양한 운전자 지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능형 속도 조절 시스템이나 고급 제동 시스템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발전 역사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기원은 1990년대 초반 일본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일본의 선도적인 자동차 제조사들은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ACC) 기능을 차량에 처음으로 탑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레이더 기반 기술을 활용해 앞차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며 주행 중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이는 초기 형태의 지능형 보조 시스템이라 볼 수 있습니다. 한편, 같은 시기 유럽과 미국의 제조사들은 여전히 기본적인 정속 주행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었고, 기술적으로는 일본보다 한발 뒤처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 ACC, 사각지대 감지(BSD), 자동 주차 보조(PA) 등 보다 진보된 시스템들이 고급 차량 중심으로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도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중 자동 주차 보조 기능은 비교적 대중화된 반면, ACC와 BSD는 당시 높은 비용으로 인해 메르세데스-벤츠나 BMW 등 고급 유럽 브랜드 차량에 한정적으로 탑재되었습니다. 특히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ADAS)’라는 공식 용어는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각국의 규제 기관, 자동차 산업 및 연구계가 다양한 차량 내 안전 시스템을 포괄적으로 정의할 필요성에 따라 채택된 결과입니다. 자세한 발전 과정에 과하여 아래에 있는 표를 참고해도 됩니다. 연도 주요 사건 설명 1958년 정속 주행 장치 최초 도입 미국 크라이슬러가 최초의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 상용화 1992년 일본의 ACC 실험 시작 도요타 및 미쓰비시가 레이더 기반 ACC 기능을 시험 적용 1995년 지능형 고속도로 시스템(IVHS) 미국 및 유럽, ITS 기반 스마트 차량 기술 개발 본격화 2003–2006년 ADAS 상용화 확산 메르세데스, 렉서스, BMW 등에서 ACC, BSD, PA 상용화 2010년대 센서 융합 기술 도입 카메라와 레이더 통합, AI 기반 판단 시스템으로 진화 2014년 ‘ADAS’ 용어 공식화 글로벌 안전 규격 및 학계에서 ADAS 용어 사용 정착 2020년대 대중화 및 레벨 2 자율주행 테슬라 오토파일럿, 현대 SmartSense 등 ADAS 표준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적용 분야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단순히 승용차나 SUV, 경트럭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대중교통 차량, 중형 및 대형 상용 트럭, 건설 및 오프로드 장비, 그리고 스마트 농기계 분야에서도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빠르게 도입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는 점점 확장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버스 및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서는 사고 방지 및 운전자 피로도 감소를 위해 차선 유지 보조, 긴급 제동 시스템(AEB), 전방 충돌 경고(FCW) 기능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도심 내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 보호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중형 및 대형 트럭의 경우, 사각지대 감지(BSD) 및 차간 거리 유지 시스템(ACC)은 고속도로 장거리 운행 시 안전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2024년부터 신규 상용차에 ADAS 기능 장착을 의무화할 예정이며 글로벌 상용차 시장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건설 장비 및 광산/오프로드 중장비 분야에서는 자동 정지 시스템, 작업 반경 감지, 경사면 주행 보조 등 특수 조건에 맞춘 ADAS 기술이 도입되어 작업자 안전 확보 및 작업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농업 기계 분야에서도 ADAS는 빠르게 발전 중입니다. 자율 수확기, 자동 트랙터, 드론과 연계된 농작물 모니터링 시스템 등은 정밀농업(Precision Agriculture)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으며, GPS, 라이다, 머신비전 기반의 주행 보조 시스템을 통해 노동력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실현하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 및 미래 트렌드 Statista 통계에 따르면 2024년에  전 세계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산업의 시장 규모는 약 580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글로벌 ADAS 시장은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29년까지 1,250억 달러 이상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ADAS의 대표적인 예로는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AEB),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KA), 자동 주차 시스템,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ACC) 등이 있습니다. Grandviewresearch에 따르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시장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 가장 빠른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인도, 중국 등 주요 국가의 인프라 고도화와 함께 고급 승용차 및 상용차에 대한 수요 증가, 그리고 다수의 ADAS 제조업체가 해당 국가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중국은 아시아 태평양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시장에서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도는 예측 기간 동안 가장 빠른 속도의 CAGR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며, 지역 내 시장 확장의 핵심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ADAS 산업 내 주요 기업으로는 Altera Corporation(Intel 자회사), Continental AG, DENSO CORPORATION, Garmin Ltd., Robert Bosch GmbH, Valeo SA 등이 있으며 그 회사들은 치열한 경쟁과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첨단 기술 도입, 연구 기반 혁신, 신제품 출시, 기존 솔루션 업그레이드, 전략적 파트너십 등 다각적인 시장 전략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LTS Group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트 솔루션 (V 모델 준수)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V 모델 LTS Group은 자동차 산업의 고도화된 안전 기준과 기능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검증된 V-모델(V-Model)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 프로세스를 제공합니다. V-모델은 소프트웨어 생애 주기의 각 개발 단계에 정확히 대응되는 검증 활동을 배치함으로써  요구 사항 분석 초기 단계부터 최종 소프트웨어 자격 테스트에 이르기까지 예측 가능하고 신뢰성 높은 품질 확보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번 콘텐츠에서 LTS Group은 실제 고객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있는 이 V-모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핵심 단계별 수행 절차를 상세히 소개합니다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분석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요구 사항 분석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분석(Software Requirement Analysis) 단계에서 LTS Group은 시스템 요구사항과 OEM으로부터 제공된 소프트웨어 명세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구사항을 추상화하여 체계적인 SW 요구사항 문서를 도출합니다. 이 과정은 이후 개발 단계에서 오류 없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반이 됩니다. 이어지는 단계에서는 요구사항의 수준(Level), 기능(Function), 정보(Information)를 식별하고 불명확하거나 애매한 정의를 제거하기 위한 언어적 정제 작업이 수행됩니다. 이는 여러 개발 주체 간의 오해를 방지하고, 요구사항 해석의 일관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LTS Group은 OEM 및 공급업체와의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요구사항의 범위, 정의, 제약 조건을 명확히 합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인식 차이를 줄이고 프로젝트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협의 과정입니다. 이와 함께, ASPICE 표준을 기반으로 한 양방향 추적성(Bi-Directional Traceability)을 확보하고 요구사항과 구현 간의 연계성을 투명하게 관리합니다. 이 모든 과정을 LTS Group은 업계 표준 도구인 IBM DOORS를 활용하여 실행하며 요구사항 도구의 유지 및 기준선(Baseline) 관리를 통해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통제합니다. 해당 역량은 실제 프로젝트 사례인 ESP/ESC/IBS 및 BMW BMS 등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으며 LTS Group가 복잡하고 고안전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입증합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아키텍처 설계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Software Architecture Design) 단계에서 LTS Group은 IBM Rhapsody와 Vector DaVinci와 같은 전문 도구를 활용하고 자동차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체계적으로 설계합니다. 이 단계는 이전 단계에서 도출된 요구 사항을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한 구조로 전환하는 핵심 과정으로 후속 개발 및 테스트의 효율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기반이 됩니다. 구체적으로 LTS Group은 시스템을 다양한 기능 모듈로 세분화하고 각 모듈 간의 데이터 흐름과 신호 흐름을 정의하며 인터페이스를 명확하게 설정합니다. 특히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관련 프로젝트에서는 도메인 컨트롤러, 77GHz 레이더, 카메라, 라이다 센서 등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통합할 수 있는 구조를 설계하고 실시간 데이터 처리 성능을 고려한 안정적인 아키텍처를 구축합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서비스 계층, 통신 계층 등으로 계층화되어 구성되며, 이는 확장성, 재사용성, 유지보수 용이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당 역량은 다양한 프로젝트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Daimler 루프 컨트롤러 ADAS용 도메인 컨트롤러, 77GHz 레이더, 카메라, 라이다 ESP/ESC/IBS 스마트 섀시 컨트롤러 에어백 컨트롤러 BMS 배터리 관리 시스템 PEPS (Passive Entry Passive Start) 시스템 소프트웨어 상세 설계 및 단위 구현 단계 업무 분석 소프트웨어 상세 설계 단계에서 LTS Group은 기존에 정의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각 모듈의 세부 설계 및 단위 구현을 수행합니다. 이 과정은 IBM Rhapsody, Vector DaVinci Configurator Pro, EB Tresos와 같은 업계 표준 도구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진행됩니다. DaVinci Developer 및 Configurator를 사용하여 BSW(Basic Software) 구성요소를 개발하며 AUTOSAR 환경에서의 정밀한 설정과 통합을 보장합니다. 또한 EB Tresos를 통해 MCAL을 구성하며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의 안정적인 작동을 확보합니다. 개발 범위에는 OS, UDS, UDSonCAN, NVM, E2E, NM, XCP, CDD, RTE, DEM 등 자동차 소프트웨어에서 표준적으로 요구되는 서비스 및 프로토콜이 포함되며 각 요소는 시스템 요구에 따라 정밀하게 설계되고 통신 흐름이 엄격히 관리됩니다. 저희는 OEM별 사이버 보안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맞춤형 부트로더를 설계 및 구현하며, 시스템 업데이트와 시큐어 부팅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더불어 소프트웨어 단위 수준에서부터 기능 안전 요소를 통합함으로써 ISO 26262 등의 안전 표준에 부합하는 개발을 실현합니다. 사용 도구 IBM Rhapsody Vector DaVinci Developer 및 Configurator EB Tresos GENy (클래식 AUTOSAR 모듈 설정용) 소프트웨어 단위 테스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단위 테스트 소프트웨어 단위 테스트 단계에서 LTS Group은 각 소프트웨어 모듈을 독립적으로 검증하여 기능의 정확성과 논리적 일관성, 그리고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이 단계는 시스템 통합 이전에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함으로써 전체 개발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LTS Group은 SIL(Software-in-the-Loop), MIL(Model-in-the-Loop) 기반의 동적 테스트를 수행하며 TPT, Tessy, VectorCAST와 같은 전문 도구를 활용하여 테스트 케이스 생성, 자동 실행, 결과 분석, 그리고 커버리지 측정(MCDC, Branch, Decision 등)을 정밀하게 수행합니다. 특히 MCDC(Modified Condition/Decision Coverage)는 기능 안전이 요구되는 자동차 소프트웨어에서 핵심적인 평가 기준입니다. 이와 함께, 정적 테스트도 병행하여 실행되며 이를 위해 Polyspace와 QAC 등의 분석 도구를 사용합니다. 정적 분석은 소스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분석함으로써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 잘못된 포인터 접근, MISRA C 규칙 위반, 논리 오류 등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위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ECU, 도메인 컨트롤러, 에어백 컨트롤러, 그리고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과  같은 고안전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용되며 각 요소에 대해 높은 신뢰성과 검증된 품질을 보장합니다. 사용 도구 동적 테스트: SIL, MIL, TPT, Tessy, VectorCAST 정적 테스트: Polyspace, QAC 소프트웨어 통합 테스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통합 테스트 소프트웨어 통합 테스트 단계에서 LTS Group는 단위 테스트를 마친 개별 소프트웨어 모듈들이 통합된 상태에서 올바르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검증합니다. 이 단계의 목적은 각각의 모듈이 설계된 대로 통합 환경에서 정확히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고,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LTS Group은 이 단계에서 크게 두 가지 유형의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첫째, 인터페이스 테스트는 Lauterbach, Tessy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각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정의가 올바르게 구현되고 작동하는지를 검증합니다. 이는 ECU,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에어백 컨트롤러와 같은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한 과정입니다. 둘째, Back-to-Back 테스트는 Tessy, TPT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두 시스템의 출력값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구현상의 논리적 차이 혹은 오작동을 탐지합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 환경과 실제 하드웨어 간 결과를 비교하여 일관성을 확보합니다. 소프트웨어 적합성 테스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적합성 테스트 소프트웨어 적합성 테스트 단계에서 LTS Group은 전체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기능적,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는지를 최종적으로 검증합니다. 이 단계는 시스템 수준에서 수행되는 정량적이고 표준화된 테스트로, 고객 인도 전 또는 OEM의 최종 승인 이전에 이루어지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저희는 Vector사의 vTESTstudio 도구를 기반으로 한 자동화 소프트웨어 적합성 테스트를 수행합니다. 테스트 시나리오는 Python 및 CAPL 언어를 활용하여 작성되며 다양한 입력 조건과 반복적인 테스트를 자동화함으로써 효율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테스트 스크립트는 CANoe 프로젝트와 연동되어 대상 시스템에 대한 입력을 생성하고, 출력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합니다. 시스템의 동작 상태는 XCP 인터페이스를 통해 온라인 모니터링 되며, 모든 테스트 결과는 표준 형식의 리포트로 생성되어 요구사항 충족 여부 및 오류 발생 여부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트 사례 연구 중국 고객을 위한 주행 안전 및 에너지 관리 솔루션 개발 고객사 소개 고객사는 에어백, 카메라,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에너지 시스템 등 다양한 운전자 안전 및 에너지 솔루션 제품을 전 세계 주요 완성차 제조업체(OEM)에 공급하는 중국 기업입니다. 비즈니스 과제 고객사는 베트남에 합법적인 법인을 설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운영 비용과 일정 최적화에도 도전 과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LTS Group은 합법적이고 비용 효율적이며 확장 가능한 현지 법인을 구축하고 장기적인 운영 지원이 가능한 맞춤형 BOT 모델을 제안하였습니다. 업무 범위 안전 분야 에어백,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전자식 자세 제어 시스템 스티어링 제동 시스템 파워트레인 및 엔진 관리 연료 시스템 주요 프로젝트 안전 시스템용 Secure Boot Loader 개발 팀 규모: 4명 기간: 2023년 3월 ~ 2023년 9월 에어백, 조향 잠금 장치, 제동 시스템, 레이더 카메라, ESP/ESC용 BSW, MCAL 개발 팀 규모: 5명 기간: 2023년 2월 ~ 2024년 2월 혼 제어 시스템을 위한 MATLAB 및 SIL 설계 팀 규모: 6명 기간: 2024년 1월 ~ 2024년 2월 Zone ECU용 BSW, MCAL 계층 개발 팀 규모: 10명 기간: 2023년 3월 ~ 2024년 3월 사용 기술 및 툴 BSW, MCAL AUTOSAR, ASPICE LV2, SHA-256, Vector vFLASH C, CAPL, Davinci Configurator & Developer, EB Tresos 기반 MCAL 설정 vTestStudio, vCast, Matlab, Simulink, Helix QAC, Boot Loader, iSystem LTS Group의 자동차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선택 이유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개발 및 품질 관리 체계 LTS Group은  AUTOSAR, ASPICE Level 2 이상, ISO 26262, ISO 15765 및 14229 등 자동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요구되는 국제 표준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표준은 글로벌 완성차 및 1차 협력업체들이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기술적 기준이며 이를 충족함으로써 전 세계 고객에게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ASPICE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평가하는 핵심 지표로, LTS Group은 명확한 요구사항 정의, 체계적인 아키텍처 설계, 통합 테스트, 검증 및 검토 절차 등 전 과정에서 표준화된 접근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반은 제품의 품질 안정성과 유지보수 가능성을 높여 줍니다. LTS Group과 협업함으로써 고객사는 글로벌 수준의 개발 및 품질 관리를 유지하며 요구사항 변경, 오류 대응, 기능 안전 평가 등 각 단계에서 예측 가능하고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8년 이상의 실무 경험 LTS Group은  지난 8년간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및 검증 분야에 집중하여 다수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습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자동차 산업의 요구 특성과 OEM의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추게 되었으며 실질적인 프로젝트 적용 경험을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기술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LTS Group은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에어백 제어기, 루프 컨트롤러 등 다양한 기능 도메인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 요구에 최적화된 설계를 제공합니다. 기능 구현을 할 뿐만 아니라 실제 차량 환경과 연계된 로직 설계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사전 분석까지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 기반의 기술력은 고객 프로젝트의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초기 기획부터 제품 출시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자동차 분야 성공 사례 연구를 통해 LTS Group의 경력을 확인하세요! 250개 이상의 성공적인 프로젝트 및 15,000 Man-month 이상의 누적 수행 실적 약 250건 이상의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15,000 Man-month 이상의 누적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과 용도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 왔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ECU 소프트웨어, 안전 기능, 통신 모듈 등 고난도의 작업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단순한 납품 중심의 개발이 아닌 고객의 비즈니스 가치 실현을 목표로 한 접근 방식을 통해 제품 출시 일정 단축, 오류 감소, 유지보수 편의성 확보 등에서 탁월한 결과를 제공해 왔습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프로젝트 간 축적된 템플릿, 테스트 시나리오, 품질 관리 기준 등 내부 자산입니다. 이러한 실적은 OEM 및 Tier 1 기업이 LTS Group을 신뢰하고 핵심 소프트웨어 개발과 검증 업무를 지속적으로 맡기는 배경이며 복잡한 요구 사항과 제한된 일정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빠른 의사결정과 민첩한 대응이 가능한 유연한 조직 구조 LTS Group은 약 500명 규모의 중견 기업으로 의사결정 구조가 간결하고 실무진과 경영진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집니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현장에서 발생하는 이슈에 대해 빠르게 판단하고 즉시 반영할 수 있는 민첩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승인 절차나 계층적 보고 없이 실무 중심의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객사 요청 사항이나 사양 변경에 대해 빠른 시간 안에 회의, 검토, 실행까지 일괄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빈번한 요구 변경이 발생하는 자동차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서 매우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월간 평가와 정기 리뷰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유하며, 고객과의 협력 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신뢰 기반의 장기 파트너십 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자동차 ADAS란 무엇입니까?   ADAS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의 약자로 운전자의 안전한 차량 운행을 돕는 기술입니다. 인간과 기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ADAS는 자동차와 도로의 안전을 높이고 센서와 카메라와 같은 자동화된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주변의 장애물이나 운전자의 오류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대응합니다. 자동차 부문에 베트남에서  IT 외주 프로젝트를 진행 가능합니까?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최근 몇 년간 베트남은 단순 개발을 넘어 자동차 특화 소프트웨어 개발로 외주 범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LTS Group과 같은 IT 외주 기업은  글로벌 Tier-1 업체들과 협력하여 ECU 개발, 모델 기반 개발(MBD), 테스트 자동화  등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사례가 있습니다.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영역에서 베트남 인재 품질은 좋습니까?  베트남은 빠르게 변화하는 자동차 산업에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인재 공급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약 270만 명 IT·기술 전공 졸업생이 배출될 예정이며 매년 5만 명 이상이 임베디드 시스템, 로보틱스, AI, 차량용 소프트웨어 등 특화 교육을 이수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AUTOSAR, ISO 26262, ASPICE 등 국제 표준과 영어·한국어 능력까지 갖추고 있어 글로벌 프로젝트에 적합하며 학습력이 뛰어난 젊은 인재층은 한국 자동차 기업에 큰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ADAS는 자율주행 기술의 토대이자 미래 모빌리티 혁신의 핵심입니다. 본 글에서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중요성과 전망, LTS Group이 제공하는 V 모델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트 솔루션 및 실제 적용 사례까지 소개했습니다. LTS Group은 안정성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하는 개발 철학을 바탕으로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과 협력하며 다양한 모델과 플랫폼에서 신뢰받는 결과를 가져갑니다. 만약 고객사가 베트남에서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한 외주를 고민 중이라면 LTS Group의 숙련된 전문가들과 함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협업 기회를 모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ISO 26262 자동차 소프트웨어 안전에 관한 포괄적 분석

ISO 26262 자동차 소프트웨어 안전에 관한 포괄적 분석

Jun 23, 2025

-

63 mins read

오늘날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시대에 전자 시스템과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는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으며, 현대 자동차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운전 지원 기능부터 능동형 안전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전성은 사용자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승객과 도로 이용자의 생명 안전과도 직결됩니다. 따라서 차량 내 전기·전자 시스템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작동하며, 잠재적인 위험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탄생한 것이 바로 자동차 소프트웨어 안전 표준 ISO 26262 표준입니다. 이 국제 표준은 자동차 산업에서 기능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전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차량의 설계부터 생산,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안전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글에서는 ISO 26262의 기본 개요와 핵심 용어를 정리하고, 해당 표준을 실제로 적용했을 때 차량 개발 및 생산 프로세스에 어떤 영향과 효과를 미치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자동차 산업에서 ISO 26262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이를 준수함으로써 어떤 품질 및 안전상의 개선이 이루어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Toggle ISO 26262란 무엇인가?정의역사적용 범 위자동차 관련 ISO 26262 표준의 세부 구성ISO 26262와 관련된 기타 개념HARA (위험 분석 및 위험 평가 ) ASIL (자동차 안전 무결성 수준)V 모델 개발 프로세스ISO 26262 vs ASPICE 차이개요 및 목적범위 및 주요 영역 구조ISO 26262 준수의 전략적 영향차량의 안전성과 신뢰성 향상국제 시장 진출 기회 확대혁신 촉진 및 기술 역량 강화ISO 26262 표준 준수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기술 파트너, LTS Group전문 인력과 안정된 개발 프로세스강력한 보안 시스템ISO 26262 표준 준수 – LTS Group 자동차 소프트웨어에 관한 실제 사례 연구미래차와 ISO 26262전동화 및 배터리 안전자율주행 시스템 및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커넥티비티 및 V2X 기술자주 묻는 질문ISO 26262는 자동차의 어떤 시스템에 적용 됩이까?ISO 26262에서 위험 분석 및 위험 평가 절차는 어떻게 수행 됩니까?자동차 기업이 ISO 26262를 준수할 때 얻는 실제 이점은 무엇 입니까?결론 ISO 26262란 무엇인가? 정의 ISO 26262는 자동차 산업에서의 기능 안전에 관한 국제 표준으로, 차량 내 전기 및 전자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이 표준은 차량의 부품과 시스템이 특히 안전과 관련된 상황에서 정확하게 기능을 수행하도록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ISO 26262 적용 차량 시스템 역사 ISO 26262는 자동차 전기전자 시스템의 기능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제정한 표준입니다. 이 표준은 원래 산업 전반에 걸친 기능 안전을 다루는 IEC 61508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의 특수성과 복잡성을 반영하여 맞춤화되었습니다. 최초 버전은 2011년에 발행되었으며, 주로 승용차(passenger cars)를 대상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이후 기술의 발전과 자동차 산업의 확장에 따라, 2018년 개정판(2판)에서는 적용 범위를 모든 종류의 도로용 자동차(트럭, 버스, 오토바이 등)로 확대하고, 소프트웨어, 반도체, 최신 전장 기술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지침을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적용 범 위 ISO 26262는 승용차, 트럭, 버스, 이륜차(모페드는 제외) 등 양산되는 모든 도로 주행 차량에 적용됩니다. 농업용 차량, 군용 차량, 비도로 주행 특수 차량 등은 적용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 표준은 차량의 기능 안전과 관련된 전기, 전자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에 중점을 둡니다. 여기에는 제어 유닛, 센서, 액추에이터, 차량 내부 통신 네트워크 등의 구성 요소가 포함됩니다. ISO 26262의 목적은 시스템 결함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으로,위험 분석, ASIL(자동차 안전 무결성 등급) 산정,그리고 제품 개발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적절한 기술적 요구사항을 적용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있습니다. 자동차 관련 ISO 26262 표준의 세부 구성 ISO 26262는 도로용 차량의 전기 및 전자 시스템에 적용되는 기능 안전에 관한 국제 표준으로, 제품 안전 수명 주기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는 12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SO에서 제공하는 공식 문서를 통해 각 파트의 구성과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자동차 산업에 적용되는 부분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1부: 용어 (Vocabulary) 자동차 기능 안전과 관련된 용어, 정의 및 약어를 명확히 하여 표준 전반에 걸쳐 일관성과 이해를 돕습니다. 제2부: 기능 안전 관리 (Management of Functional Safety) 제품 개발 프로젝트에서 기능 안전 관리 활동을 계획, 감독, 평가하는 방법을 안내하며, 안전 요구사항이 제품 수명 주기 동안 적절히 이행되도록 보장합니다. 제3부: 개념 단계 (Concept Phase) 초기 개념 설계 단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사항들을 규정합니다. 아이템 정의(Item Definition)를 통해 시스템 범위를 규정하고, 위험 분석 및 위험 평가(Hazard Analysis and Risk Assessment, HARA)를 수행하여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이 만족해야 할 안전 목표(Safety Goals)를 정의합니다. 제4부: 시스템 레벨 제품 개발 (Product Development at the System Level) 시스템 수준에서의 개발 요구사항을 다룹니다. Part 3에서 도출된 안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능 안전 개념(Functional Safety Concept)을 구체화하고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컴포넌트 분할, 시스템 수준의 통합 및 테스트 방법 등을 규정합니다. 제5부: 하드웨어 레벨 제품 개발 (Product Development at the Hardware Level) 하드웨어 설계 단계의 요구사항입니다. 하드웨어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예를 들어 하드웨어 아키텍처 메트릭 평가(Single Point Fault Metric, Latent Fault Metric 등)와 같은 무작위 하드웨어 고장에 대한 평가를 다룹니다​. 또한 하드웨어 고장으로 안전 목표가 위배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제6부: 소프트웨어 레벨 제품 개발 (Product Development at the Software Level)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의 요구사항입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단위 코드 설계 및 구현, 소프트웨어 검증 및 테스트 방안 등을 다룹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서 흔히 사용하는 C언어 코딩의 경우 MISRA-C와 같은 안전한 코딩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도록 권고하며​, 결함을 줄이기 위해 정적 분석, 동적 테스트, 결함 모드 및 영향 분석(FMEA)이나 결함 나무 분석(FTA) 등의 기법도 활용됩니다. 제7부: 생산, 운용, 서비스 및 폐기 (Production, Operation, Service and Decommissioning) 개발이 끝나 제품이 출시된 이후의 양산, 운영, 서비스 단계에서 지켜야 할 사항을 다룹니다. 안전 관련 부품을 생산할 때 품질을 보장하는 프로세스 수립, 차량 운용 시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 리콜 시의 조치, 그리고 차량 및 부품의 폐기(Decommissioning) 시 안전 확보 등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제8부: 지원 프로세스 (Supporting Processes) 안전 수명주기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원 활동에 관한 요구사항입니다. 예를 들어 요구사항 관리 및 추적성 관리,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변경 관리(Change Management), 도구 검증(툴 셋업 시 해당 툴이 안전한 개발에 적합한지 검증), 재사용 컴포넌트의 평가(예: 이미 개발된 부품을 사용할 때 안전 적격성 평가) 등이 해당됩니다​. 제9부: ASIL 기반 및 안전 중심 분석 (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ASIL)-oriented and Safety-oriented Analyses) 안전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세부 분석 기법들을 다룹니다. 여기에는 ASIL 분해(ASIL Decomposition)라고 불리는 기법(하나의 높은 ASIL 요구사항을 독립적인 이중 경로로 나누어 각각 낮은 ASIL로 구현하는 방법), 상호 의존 고장 분석(Dependent Failure Analysis), 그리고 시스템/하드웨어/소프트웨어 레벨에서의 정량적 안전 분석 기법들이 포함됩니다​. 제10부: ISO 26262 적용 가이드라인 (Guidelines on ISO 26262)  ISO 26262의 각 요구사항과 개념들을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해설하는 지침서 역할을 합니다. 표준의 다른 파트들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추가 설명과 예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표준을 올바르게 해석하도록 도와줍니다​. 제 11부:  반도체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Guidelines on Application to Semiconductors) 2018년 개정판에서 추가된 파트로, 반도체 부품(예: 시스템온칩 SoC, 마이크로컨트롤러 등) 개발시 ISO 26262를 적용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차량용 반도체 제조사와 IP 공급자를 위한 세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칩 설계 단계에서 기능 안전 요건을 충족시키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제12부:  이륜차 적용을 위한 적응(Adaptation for Motorcycles) 역시 2018년 추가된 파트로, 이륜차(모터사이클)에 ISO 26262를 적용할 때의 특이사항을 다룹니다. 모터사이클은 자동차와 달리 운전자 개입도가 높고 주행 특성이 다르므로, 모터사이클용 모터사이클 안전 등급(MSIL) 도입, 모터사이클에 맞는 HARA 수행, 시험 방법 등을 제시합니다​. ISO 26262와 관련된 기타 개념 HARA (위험 분석 및 위험 평가 )  HARA는 ISO 26262에서 핵심적인 절차로, 자동차의 전기/전자 시스템과 관련된 잠재적인 위험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HARA의 주요 목적은 시스템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관련된 위험 수준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 평가는 세 가지 주요 요소를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심각도 (Severity – S): 차량 내 승객, 보행자 또는 다른 도로 이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피해의 정도. 노출도 (Exposure – E):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운행 상황이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 제어 가능성 (Controllability – C): 운전자 또는 도로 이용자가 위험 상황을 통제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능력. 이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HARA는 각 위험을 자동차 안전 무결성 수준(ASIL, 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로 분류하며, 이를 통해 필요한 안전 요구사항을 도출합니다. HARA의 결과는 위험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안전 목표(safety goals)의 설정으로 이어집니다. 이 과정을 통해 안전 요소가 제품 개발 생애 주기의 초기 단계부터 통합되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ASIL (자동차 안전 무결성 수준)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은 자동차 기능 안전에서 위험 수준에 따라 요구되는 안전 무결성 등급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스템, 부품, 소프트웨어 등이 특정 위험에 대해 어느 정도의 안전성을 갖춰야 하는지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위험의 심각도, 노출 빈도, 통제 가능성 세 가지 요소를 종합하여 A부터 D까지 네 단계로 구분됩니다. ASIL 등급이 높을수록 더 엄격한 안전 설계와 검증 절차가 적용되어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합니다. 기본적인 수준 구분 ASIL-기본적인 수준 구분 ASIL 결정 요소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자동차 안전 무결성 등급)은 차량 내 안전과 관련된 시스템의 위험 수준을 평가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안전 요구사항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입니다. ASIL 수준은 사고 발생 시 심각도(Severity),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는 빈도(Exposure), 운전자 또는 주변인이 위험을 통제할 수 있는 가능성(Controllability)이라는 세 가지 핵심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이 세 요소에 따라 ASIL은 A부터 D까지 4단계로 나뉘며, D 등급이 가장 높은 안전 요구사항을 의미합니다. Severity (S) – 심각도 사고 발생 시 인명 피해 또는 부상의 심각한 정도를 평가합니다. 경미한 부상부터 사망에 이르는 다양한 수준이 존재하며, 심각도가 높을수록 ASIL 등급도 높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Exposure (E) – 노출도 운전자나 차량이 위험한 상황에 얼마나 자주 노출되는지를 평가합니다. 노출 빈도가 높을수록 해당 상황이 더 위험하다고 간주되며, ASIL 수준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Controllability (C) – 제어 가능성 운전자 또는 주변 사람이 위험을 인식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합니다. 통제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그 상황은 더 높은 위험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더 높은 ASIL 수준이 요구됩니다. 자동차 개발에서 ASIL의 중요성 개발 프로세스의 엄격성 결정 ASIL 등급이 높은 시스템일수록 더욱 엄격한 개발, 테스트 및 검증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자원의 합리적 배분 높은 위험을 가진 기능에 자원을 집중 투자함으로써 최대한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ISO 26262 표준 준수 보장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가 법적 요구사항과 시장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사용자의 신뢰성과 안전성 강화 전자 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사고 위험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더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을 제공합니다. V 모델 개발 프로세스 V 모델 개발 프로세스 V-모델은 ISO 26262 표준에 따라 기능 안전(Function Safety)을 확보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개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개발 단계(Development)와 검증 및 확인 단계(Verification & Validation) 간의 대칭적인 관계를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개발 단계 (V 모델의 왼쪽) SYS.2 –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시스템 수준에서의 전체적인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기능 안전 요구사항도 포함되며, 전체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의 기반이 됩니다. SYS.3 –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분석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적절히 분배하는 시스템 아키텍처를 설계합니다. SWE.1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분석시스템 요구사항을 소프트웨어 수준으로 세분화하여 구체적인 소프트웨어 요구사항(기능 및 안전 요구 포함)을 도출합니다. SWE.2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소프트웨어의 모듈 구조, 계층화, 데이터 흐름 등을 고려한 설계를 통해 유지보수성과 검증 용이성을 확보합니다. SWE.3 – 소프트웨어 상세 설계 및 단위 구현각 소프트웨어 유닛(단위 모듈)의 상세 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코드 구현을 진행하며, 이후 단위 테스트가 이어집니다. 확인 단계 (V 모델의 오른쪽) SWE.4 – 소프트웨어 단위 검증구현된 각 모듈(유닛)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하여 요구사항에 맞게 작동하는지를 확인합니다. SWE.5 – 소프트웨어 통합 및 통합 시험개별 소프트웨어 모듈을 통합하여 기능 간 상호작용 및 데이터 흐름을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SWE.6 – 소프트웨어 적합성 시험전체 소프트웨어가 최종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시험 단계로, 안전 기능 요구사항도 포함됩니다. SYS.4 – 시스템 통합 및 통합 시험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통합하여 전체 시스템 수준에서의 기능성과 상호작용을 검증합니다. SYS.5 – 시스템 적합성 시험초기 단계에서 정의된 전체 시스템 요구사항(기능 및 안전)을 시스템이 완전히 충족하는지를 확인하는 최종 시험입니다. 기능 안전에서 V 모델의 이점 초기 및 전반적인 테스트 보장 개발의 각 단계마다 대응되는 테스트 절차가 포함되어 있어, 오류를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요구사항 추적 가능성 모든 안전 요구사항이 적절히 구현되고 충분히 테스트되었는지를 추적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효율적인 위험 관리 각 단계에서 위험을 분석하고 처리함으로써, 기능 안전이 제품 생애 주기 전반에 걸쳐 유지됩니다. ISO 26262 표준 준수 V-모델은 자동차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가 엄격한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ISO 26262 vs ASPICE 차이 ASPICE와 ISO 26262 차이점 개요 및 목적 ISO 26262는 도로용 차량의 전기 및 전자 시스템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국제 기능 안전 표준입니다. 이 표준의 주요 목적은 자동차 시스템이 전체 수명 주기 동안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보장하여, 부상이나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ISO 26262는 위험 분석 및 리스크 평가에서부터 시스템 설계, 구현, 검증 및 검토에 이르기까지 기능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지침과 요구사항을 제공합니다. 이 표준은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위험을 분류하며,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고장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안전 조치를 구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반면, ASPICE 는 ISO/IEC 15504(SPICE)에서 파생되어 자동차 산업에 맞게 조정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평가 모델입니다. ASPICE의 주요 목적은 자동차 공급업체 및 제조업체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것입니다. 이 모델은 프로세스의 성숙도와 역량에 중점을 두며, 조직이 소프트웨어/시스템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관리, 품질 보증 등의 분야에서 모범 사례를 따르고 있는지를 보장합니다. ASPICE는 기능 안전을 직접적으로 다루지는 않지만, 고품질의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범위 및 주요 영역 ISO 26262는 자동차 전기/전자 시스템의 기능 안전 수명 주기 전체를 포괄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통합을 포함합니다. 이 표준은 개념 단계부터 시스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 운용, 서비스, 폐기에 이르는 모든 단계에 적용됩니다. 적용 범위는 인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한 사건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고장 발생 가능성이 있는 안전 필수 시스템입니다. 반면에 ASPICE는 자동차 분야 내에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에 관련된 프로세스에 주로 초점을 맞춥니다. ASPICE는 조직의 개발 프로세스가 얼마나 잘 정의되고, 관리되며, 실행되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요구사항 엔지니어링, 설계, 구현, 테스트, 형상 관리,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며, 프로세스 품질 면에서는 더 넓은 범위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ASPICE는 기능 안전 요건을 구체적으로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구조 ISO 26262는 위험 기반 접근 방식에 따라 기능 안전을 구조화한 국제 표준입니다.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험 분석 및 위험 평가(HARA): 심각도, 노출 빈도, 제어 가능성을 기준으로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합니다. 자동차 안전 무결성 수준(ASIL): 위험을 A부터 D까지 네 가지 수준으로 분류하며, D는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 보증이 요구됩니다. 안전 수명 주기(Safety Lifecycle): 개념부터 폐기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안전이 관리되도록 정의되어 있습니다. 안전 목표 및 요구사항: HARA에서 도출되며, 안전 기능이 달성해야 할 목표와 기준을 명확히 합니다. 검증 및 검증(Verification and Validation): 안전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엄격한 테스트 및 분석 과정을 포함합니다. ASPICE는 자동차 산업에 특화된 프로세스 평가 모델로, 프로세스 영역과 능력 수준으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세스 영역 주요 수명 주기 프로세스 (예: 시스템 요구사항, 소프트웨어 설계) 지원 수명 주기 프로세스 (예: 형상 관리) 조직 수명 주기 프로세스 (예: 프로세스 개선) 등으로 나뉩니다. 능력 수준 수준 0 (미완성)부터 수준 5 (최적화됨)까지 구성되어 있으며, 조직의 프로세스 성숙도 및 실행 능력을 나타냅니다. 평가 조직은 ASPICE 기준에 따라 평가를 받으며, 강점, 약점,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게 됩니다. ISO 26262 준수의 전략적 영향 ISO 26262는 단순한 기술 표준을 넘어, 자동차 산업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표준을 준수하는 것은 제품 품질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고객, 파트너, OEM 제조사, 규제 기관 및 전체 공급망에까지 직간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ISO 26262를 적용함으로써 기업은 어떤 전략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차량의 안전성과 신뢰성 향상 ISO 26262는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결함과 관련된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명확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기업은 위험 분석과 결함의 심각도를 기준으로 한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등급을 적용함으로써, 초기 단계부터 더 안전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모비스는 ISO 26262를 준수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ADAS 카메라와 레이더 제품군에 도입하여, 잠재적인 결함을 설계 단계에서부터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ISO 26262 준수는 법적 리스크를 줄이고 각국의 규제를 충족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유럽과 북미 등 주요 시장에서는 기능 안전을 입증할 수 있는 규정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제품 리콜, 수출 금지, 소송 등의 위험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국제 시장 진출 기회 확대 ISO 26262 인증을 획득하면 한국 기업들이 안전 규제가 필수적인 유럽의 OEM 및 티어 1 업체들과 원활하게 협력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인증은 특히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통해 미국과 유럽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현대오토에버(Hyundai AutoEver)와 같은 기업들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현대오토에버는 차량 소프트웨어 플랫폼 ‘모빌진 어댑티브’가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표준 인증 최고 등급인 ASIL-D를 획득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받는 안전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이 인증을 바탕으로 현대오토에버는 자율주행차 및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분야에서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혁신 촉진 및 기술 역량 강화 ISO 26262는 기능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에게 첨단 소프트웨어 개발 기법의 적용을 요구하며, 이는 단순한 규정 준수를 넘어 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과 내부 역량 강화를 이끄는 촉진제가 됩니다. MBD (Model-Based Design, 모델 기반 설계)MBD는 개발 초기부터 시스템 기능을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설계 오류를 사전에 제거하고 개발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킵니다. 예를 들어, 자동 긴급 제동 시스템(AEB) 개발 시 다양한 교통 상황을 모델로 재현해 시스템 반응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반복적이고 수작업 중심이던 기존 개발 방식에서 벗어나, 체계적이고 예측 가능한 개발 프로세스로 전환하게 되며, 이는 곧 개발 품질과 생산성의 전반적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MC/DC (Modified Condition/Decision Coverage) 테스트MC/DC 테스트는 복잡한 조건과 의사결정 논리를 철저히 테스트하여, 잠재적인 오류를 사전에 식별하고 제거할 수 있게 합니다. 예컨대 에어백 제어 시스템에서는 충돌 속도, 좌석 위치, 안전벨트 착용 여부 등 다양한 조건을 개별적으로 테스트해 오작동을 방지합니다. 이러한 고도화된 테스트 기법은 제품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조직 내 품질 보증 체계의 성숙도를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 ASIL 분해 (ASIL Decomposition)높은 ASIL 등급의 요구사항을 여러 개의 낮은 수준 모듈로 나누어 관리하는 ASIL 분해 기법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설계 유연성과 비용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TPMS(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는 각 센서와 제어 모듈을 ASIL A~B 수준으로 분할하여 개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합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전 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기업이 리스크를 보다 정밀하게 분산 관리하고, 시스템 설계 최적화를 통해 경쟁력 있는 제품 개발이 가능하게 만듭니다. ISO 26262 표준 준수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기술 파트너, LTS Group 자동차 산업에서 안전은 생명과 직결된 핵심 가치입니다. 이에 따라 국제 기능 안전 표준인 ISO 26262를 준수하는 것은 기업의 리스크를 줄이고, 시장에서의 신뢰도를 높이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LTS Group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및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에 있어 풍부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들의 ISO 26262 준수를 효과적으로 지원해온 믿을 수 있는 파트너입니다. 전문 인력과 안정된 개발 프로세스 LTS Group은 자동차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전문 인력을 다수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엔지니어들이 ISO 26262, AUTOSAR 등 자동차 기능 안전 및 표준 아키텍처에 대한 이해와 실무 경험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LTS Group은 다수의 글로벌 Tier-1, OEM 고객사들과 협력하여 ADAS, ECU, IVI 등 다양한 도메인에서 테스트 및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요구사항 분석부터 HARA, ASIL 분해, V-Model 기반 개발 및 검증까지 기능 안전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준수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적으로 구축한 Automotive 개발 매뉴얼과 QA 표준 절차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품질을 철저히 관리하며, 고객사의 A-SPICE 수준 향상 및 기능 안전 인증 획득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LTS Group의 전문성과 체계적인 개발 프로세스는 고객사가 제품 출시 리스크를 줄이고, 시장 요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LTS Group의 개발 팀 강력한 보안 시스템 LTS Group은 고객과 프로젝트의 정보 안전을 최상으로 보장하기 위해 다층 보안 조치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보안 계층에는 24시간 감시되는 CCTV 시스템, 지문 또는 얼굴 인식(Face ID)을 통한 출입 통제, 엄격한 비밀 유지 정책(NDA)이 포함됩니다. 또한, 회사는 GDPR 기준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ISO 26262 표준이 적용되는 프로젝트에서 LTS Group는 Part 4부터 Part 6까지의 개발 단계 전반에 걸쳐 보안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요구사항 정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구현 및 테스트 등 각 단계에서 사이버 보안을 내재화함으로써, 고객사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ODC(Offshore Development Center) 모델을 통해 고객 맞춤형 독립 개발 환경을 제공하며, 필요 시 24시간 상주 보안 인력을 배치해 보안 관리를 강화합니다. 더불어, Part 7(생산, 운용, 서비스 및 폐기) 단계에서도 LTS Group의 보안 역량은 유효하게 발휘되고 있습니다. Skoda 프로젝트에서는 Production Mode와 Transport Mode를 구현해 생산 및 물류 과정의 보안을 강화하고 있으며, Renault 프로젝트에서는 diagm safety 기능을 적용해 차량 운용 중 안전 진단 기능을 정밀하게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LTS Group는 차량 생애 주기 전체에 걸쳐 일관된 보안과 기능 안전을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IT 인프라 측면에서 LTS Group은 도메인 컨트롤러(Domain Controller)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 네트워크 자원을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합니다. 그룹 정책(Group Policy)을 통해 보안 정책, 시스템 구성, 접근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 전반에 걸쳐 일관성과 엄격한 통제를 보장합니다. 또한, 기업용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으로 pfSense 방화벽 시스템을 도입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고, 접근 행위를 분석하며 외부 위협을 신속히 차단합니다. pfSense는 VPN, IDS/IPS 및 전문적인 네트워크 보안 모니터링 도구를 지원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안전하고 안정적인 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ISO 26262 표준 준수 – LTS Group 자동차 소프트웨어에 관한 실제 사례 연구 한국 대형 기술 기업을 위한 IVI 시스템 테스트 ODC 구축 2017년 7명의 소규모 팀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60명의 전담 ODC 팀으로 확장하였습니다. ISO 26262 & ASPICE 국제 안전 표준을 준수하며 EV, HEV, FCEV 등 다양한 차량 모델에 대한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주요 성과 15,000개 테스트 케이스 설계, 10,000개 버그 탐지 78개 기능 (AVN, EV, HEV, PHEV, FCEV)에 대한 철저한 검증 Android Auto, 헤드업 디스플레이, 음성 제어, 자동 주차 보조 등 다양한 스마트 기능 테스트 운영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 → 고객사로부터 5개 추가 프로젝트 수주 자동차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Charging System)개발 LTS Group의 기능 안전 역량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프로젝트 중 하나는, GM(General Motors), 현대자동차, Skoda, Nissan, Mitsubishi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를 위한 자동차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Charging System)개발입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LTS Group는 ISO 26262 기반 고객 템플릿 및 프로세스에 맞춰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능별 위험 분석 및 적절한 ASIL 등급(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식별 기능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및 개발 표준에 따른 테스트, 검증 및 검토 수행 고객 요구사항에 맞춘 기술 문서 작성 및 리포트 제출 이러한 협업을 통해 LTS Group은 고객사의 프로젝트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고, 고품질의 안전 중심 소프트웨어를 성공적으로 납품함으로써 기능 안전 목표 달성에 실질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미래차와 ISO 26262 향후 한국은 전기차(EV), 자율주행,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술 등 미래 자동차 기술 개발에 있어 ISO 26262의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자리잡을 것입니다. 전동화 및 배터리 안전 한국의 전기차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 초 기준 전기차 판매량이 40% 이상 증가했습니다. 현대와 기아를 비롯한 국내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전동 파워트레인 및 배터리 기술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입니다. 향후 전기차 개발은 ISO 26262를 엄격히 준수해야 하며, 이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고전압 부품이 최고 수준의 안전 등급인 ASIL D를 만족하도록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과열 또는 전기적 오류와 같은 위험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안전성은 향후 핵심 과제로, ISO 26262는 결함 허용 아키텍처 설계, 안전 장치 내장, 엄격한 테스트 절차 등을 통해 화재 및 시스템 셧다운과 같은 사고를 예방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 이는 최근 업계의 안전성 우려에 따라 한국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안전 규제 방향과도 부합합니다. 자율주행 시스템 및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한국은 완전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기존 계획보다 3년 앞당겨 2027년으로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기능 안전(Functional Safety)이 기술 혁신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ISO 26262는 자율주행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개발의 기반이 되어, 다양한 조건에서 센서, 처리장치, 제어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보장합니다. 향후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와 자율주행차 시스템은 각각의 기능 중요도에 따라 다양한 ASIL 등급을 준수해야 합니다. 이는 차선 유지, 긴급 제동부터 센서 데이터 처리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까지 포함됩니다. 이 표준은 위험 분석, 리스크 평가, 검증 활동을 통해 시스템이 이상 상황 발생 시 안전하게 반응하도록 안내합니다.  커넥티비티 및 V2X 기술 커넥티드 카 및 V2X(Vehicle-to-Everything) 기술은 한국의 스마트 모빌리티 비전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차량이 인프라, 다른 차량, 클라우드 서비스와 점점 더 많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ISO 26262 준수는 네트워크 안전성과 통신 안전성 측면으로 확장되어 사이버 공격이나 통신 오류로 인한 안전 문제를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두게 됩니다. 향후 개발에서는 ISO 26262에 기반한 안전 메커니즘을 통합하여 시스템의 무결성과 가용성을 보장할 예정이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에서 강력한 오류 탐지 및 처리 전략이 구축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ISO 26262는 자동차의 어떤 시스템에 적용 됩이까? ISO 26262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기능 안전과 관련된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모든 자동차 전기 및 전자 시스템에 적용되며, 차량의 전 생애 주기 동안 이 시스템들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보장합니다. ISO 26262에서 위험 분석 및 위험 평가 절차는 어떻게 수행 됩니까? 이 절차는 잠재적 위험을 식별하고, 심각도, 발생 가능성, 운전자의 통제 가능성을 평가하여 안전 무결성 수준(ASIL)을 분류하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안전 목표와 조치를 설정합니다. 자동차 기업이 ISO 26262를 준수할 때 얻는 실제 이점은 무엇 입니까? ISO 26262 준수는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전자 시스템 오류로 인한 사고 위험을 줄이며,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결론 ISO 26262는 단순한 기술 규격을 넘어, 자율주행차, 전기차, 커넥티드카 등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안전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기능 안전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제품의 품질과 사용자의 생명을 보호하고,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LTS Group는 8년 이상의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및 테스트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왔으며, 특히 한국 고객사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신뢰와 기술 이해도를 쌓아왔습니다. 지금 바로 LTS Group과 함께, 안전한 미래차 개발을 시작해보세요